Surprise Me!

[다시 간다]사람 죽어나가는데…선 넘는 ‘전기울타리’

2022-07-19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일주일 전 충북 옥천에선 야생동물 접근 방지용 전기울타리에 부녀가 감전돼 사망하는 사고가 났죠. <br> <br>감전 위험을 막는 장치도 달지 않고 220볼트 전기를 연결해 사용했는데요. <br> <br>비슷한 사고가 반복되고 있습니다. <br> <br>남영주 기자가 다시 가봤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산 중턱에 있는 과수원.<br> <br>2년 전 등산하던 30대 여성이 전기울타리에 감전돼 목숨을 잃은 곳입니다. <br> <br>[감전 사망자 동료] <br>"같은 부서에서 일하고 있었거든요. 굉장히 충격이 컸고 마음이 많이 아팠죠." <br> <br>멧돼지 고라니 같은 야생동물을 막으려고 설치한 전기울타리에는 220 볼트 전기가 연결돼 있었습니다. <br> <br>울타리를 설치한 농장주는 '업무상 과실치사'로 금고 1년형을 받았지만 사고가 난 과수원 주변에는 여전히 전기울타리가 있습니다. <br> <br>'고압주의' 표시가 달려있지만 작아서 눈에 띄진 않습니다. <br> <br>[농장주 부인] <br>"(전기업체가 와서 울타리를 만들어 준 거예요?) 그렇죠. 잘 돼 있다고는 말 못 해요. 사고는 언제 날지 모르는데." <br> <br>일주일 전 충북 옥천에서도 밭에 설치된 전기울타리에 감전된 부녀가 목숨을 잃었습니다. <br> <br>숨진 60대 남성은 밭 주인으로 전기울타리의 위험성을 알고 있었습니다. <br> <br>[이웃 주민] <br>"나보고 '전기 위험하니까 조심해서 다니시오' 그러더니 결국은 본인이 갔어." <br> <br>이곳도 경고문 표시가 허술하긴 마찬가지.<br> <br>[이대동 / 한밭대 전기공학과 박사] <br>"한글로 위험이라고 적혀있던 부분이 지워져있네요. 일반인들이 감지할 수 있도록 신경써서 개선해야…." <br> <br>전압전류제어기 없이 220볼트 전기를 연결한 것도 2년 전 상주 사고와 판박이입니다. <br><br>전기울타리는 전기가 흐르는 목책선과누전차단기, 전압전류제어기 등으로 구성됩니다. <br><br>전문가가 제어기가 달린 정상적인 전기울타리의 전압을 재 봤습니다. <br> <br>순간 최대 전압이 1만 4천볼트까지 올라갑니다. <br> <br>하지만 제어기가 전류를 흘리다 끊기를 짧은 시간 빠르게 반복해 목책선에 닿아도 정전기 수준의 '따끔'하는 통증만 순간적으로 느껴지게 합니다. <br> <br>하지만 주변에 풀이나 나무가 자라 목책선에 닿으면 효과가 떨어집니다. <br> <br>농가에선 벌초 대신 제어기를 없애거나 우회하는 방식으로 동물 차단 효과를 높이려는 유혹에 빠지기 쉽습니다. <br> <br>[신종민 / 전기울타리 설치기사] <br>"풀이나 나무, 철이 닿으면 전압이 낮아지거든요. 전압이 약하다는 생각을 하시다보니까 바로 220V를 꽂아서 사고가 발생하는…." <br> <br>사설 전기울타리는 말할 것도 없고, 지자체가 보조금을 줘서 만든 울타리조차 사후 점검 규정이 없습니다. <br> <br>[지자체 관계자] <br>"보조사업을 통해서 한 거니까 본인(농가)이 관리하시는 겁니다. (정기점검을 나가진 않고요?) 네." <br> <br>정부 부처들도 자기 일이 아니라고 손사래 칩니다 <br> <br>[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] <br>"지자체에서 하는 사업이고 환경부 소관이기 때문에. 환경부 쪽으로 한 번 다시 문의를 해보시는 게…" <br> <br>[환경부 관계자] <br>"밭작물 쪽 울타리라고 얘기하시는 거 보니까 그렇게 되면 저희가 관련이 아니거든요." <br>  <br>전기울타리 현황 전수조사와 정기적인 점검이 시급합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남영주입니다.<br> <br>PD : 윤순용 권용석<br /><br /><br />남영주 기자 dragonball@donga.com

Buy Now on CodeCanyon